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네트워크보안
- 자격증
- 3-way handshake
- 네트워크해킹과보안
- IP스푸핑
- 케쉴주
- ICMP리다이렉트
- 정보보호개론
- 단순치환암호
- 스위치재밍
- 암호학
- ARP리다이렉트
- 보안부트캠프
- 세션하이재킹
- 4-way handshake
- k-shield주니어
- 네트워크
- 케이쉴드주니어
- 정처기
- tcp세션하이재킹
- 목록화
- 컴퓨터공학
- 네트워크해킹
- 복호화
- OSI7
- 보안
- caesar's cipher
- 암호문
- 합격후기
- SQL개발자
- Today
- Total
목록암호학 (2)
나도 공대생

문제 RSA 복호화 문제로 기본적으로 주어진 정보를 이용해 평문과 d을 구하면 된다. 주어진 정보는 다음과 같다. neC 3173174654383 65537 2487688703 풀이우선 RSA 암호문을 복호화하기 위해서는 M=C^d mod N 공식을 이용해야 한다. M을 구하기 위해서는 C, d, N의 값이 필요한데 기본적으로 n과 C를 알려주고 있다. 이때, ed = 1 mod phi, N=p*q 공식을 함께 이용하면 d를 구할 수 있다.phi=(p-1)*(q-1) : p와 q는 N을 소인수분해 하여 나온 소수를 의미한다.import java.math.BigInteger;class DecryptionRSA{ BigInteger n = new BigInteger("3174654383")..

단순 치환 암호(Simple Substitution)은 가장 기본적인 방법으로 현재 문자를 n번째 앞에 있는 문자와 서로 치환해서 암호화하는 것이다. 암호문을 복호화 하는 방법 역시 단순하다. 암호문에 있는 문자와 평문에 있는 문자를 비교해서 치환하면 되는데, 암호화된 문자 각각을 알파벳 순서 상 n번째 뒤/앞에 위치한 문자로 치환하는 것이다. Caesar's Cipher는 단순 치환 암호의 일종으로 알파벳 순서상 가능한 n번의 이동으로 암호화를 한다. ( n ∈ {0, 1, 2, … , 25} )복호화 역시 단순 치환 암호의 복호화하는 방법과 똑같다. 알파벳의 개수는 정해져있기 때문에 26개의 키를 모두 사용하여 점검할 수 있다. 이렇게 무차별 대입으로 언젠가 올바른 키를 대입했을 시 평문을 찾는..